[건축법규] 주차장 곡선 경사로의 내변반경 적용하는 법 주차장법 시행규칙에는 주차 경사로의 곡선 내변 반경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① 법 제6조제1항에 따른 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5.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는 제3호의 기준에 따르는 외에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나.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6미터(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총주차대수가 50대 이하인 경우에는 5미터, 이륜자동차전용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3미터)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11조(부설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① 법 제6조제1항에 따른 부설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에 대해서는 제5조제6호 및 제7호와 제6조제1항제1호부터 제8호까지ㆍ제10호ㆍ.. 건축정보/건축법규 4년 전
[건축법규]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필요 주차대수 산정법 우리 삶 속에 자동차라는 존재는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것 중 하나이다. 그러면 그 많은 자동차들은 어디에 세워둘까? 엉뚱한 질문이지만 당연히 주차장이다. 차를 세우기 위해선 주차장이 필요하다. 물론 공영주차장 같이 외부에 있는 주차장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디 식당을 가더라도 거기 주차 돼요? 라는 질문을 많이 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선에서 건축물의 주차장은 꼭 있어야 하는 존재다. (설치의무를 면제 할 수도 있는데,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돈을 납부함으로써 부설주차장 설치를 면제 받는 방법도 있다. 물론 특수한 조건들이 붙지만.) 건축계획을 하면서 주차계획은 정말 중요한 이슈인데 그러면 내가 계획하고 있는 건축물은 얼만큼의 주차 대수를 필요로 하는걸까? 부설주차장 설치.. 건축정보/건축법규 4년 전